1. Field Trip↗
2. Wild Clay Research A↗
     Wild Clay Research B↗
3. Process↗
4. Artwork↗
5. Interview↗

전시 전경↗




고도미 Ko Domi


무석(霧石) foggy rock
2023
평창 원토, 평창 원석, 실크백토, 슬립 캐스팅
soil and stone from Pyeongchang, porcelain, slip casting 13.7x36x14.5cm

평창에서 채집한 수석을 본뜬 후 화이트박스와 결합하여 자연과 인공의 조우를 자아냈다. 평창의 산등성이를 흐리는 운무와 같이, 밝은 촛불이 화이트박스 안을 비출 때 바깥에서는 안개의 흐릿하면서도 서늘한 빛깔과 화이트박스의 경계가 공존한다. 가시성과 불가시성의 혼재,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의 경계에 대해서 고민했다.

The stones were collected in Pyeongchang and combined with the white box to create an encounter between nature and artifice. Just like the fog that clouds the ridges of Pyeongchang, when a bright candle shines inside the white box, the blurred and cool colors of the fog coexist with the boundaries of the white box. I was thinking about the mixture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and furthermore, the boundary between man and nature.






고도미 Ko Domi

표본 시리즈 - 경계 Specimen Series - The Boundaries
2023
평창 원토, 실크백토, 솔리드 캐스팅에 귀얄
soil from Pyeongchang, porcelain, paintbrush on solid casting 27x63cm

작품 <무석(霧石)>의 풍경으로 평창 식질토의 고유한 질감과 색감 안에서 분명한 경계를 가지는 백토의 대비감을 자아냈다. 슬립의 농도에 따라 은은하게 짙어가는 토양 색감을 연구한 표본의 역할을 겸한다.
With the landscape of 'foggy rock', I created a sense of contrast between the white clay that has a clear boundary within the unique texture and color of the Pyeongchang clay loam. It also serves as a specimen to study the color of the soil, which deepens subtl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lip.






김다현 Kim Dahyun

누천 downpour
2023
안동 원토, 백자토, 화장토, 유약, 판 성형
soil from Andong, porcelain, glaze, slab building 27.5x39cm

입자들이 모여 이루어진 여백 위, 겹겹이 쌓이는 기왓장과 그 작은 반복들이 그려낸 군락들. 빗방울이 맺힌다. 비에 젖어 짙어진 땅. 세상은 희뿌옇지만, 모든 것들이 그 안에서 반짝인다.
On the blank space where the particles gather, in the overlapping roofing tilles and the colonies created by their tiny repetitions. Raindrops are formed. Rain-soaked, darkened ground. The world is hazy, but everything shimmers in it.






김도헌 Kim Doheon

땅의 운율 cadence of land
2023
영월 원토, 페이퍼클레이, 판 성형
soil from Yeongwol, paper clay, slab building 1x18x16cm, 1x24x16cm, 1x25x18cm

땅속의 철과 유기물. 영월의 땅은 별을 닮아 노랗다. 노란색의 자유함.
흙은 고온에서 뒤틀리고. 중력이 닿아 유약은 흐른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나는 땅의 운율을 따라가고 있다.

Iron and organic matter in the ground. The land of Yeungwol is yellow like the stars. The freedom of yellow.
The soil twists from the high temperature. Gravity touches and the glaze flows, from high to low. I am following the rhyme of the land.






김동인 Kim Dongin

結䓿 ver.ROS Flawer ver.ROS
2023
수비 원토(가평, 광주, 경주, 남양주, 이천, 파주), 포셀린, 투명유, 주입 성형, 1,250°C 산화 번조
soil from Gapyeong, Gwangju, Gyeongju, Namyangju, Icheon, Paju, porcelain, clear glaze, slip casting, 2,282°F
oxidation firing
(Gapyeong)9.8x7.5x5.7cm, (Gwangju)7.5x7.2x4.5cm, (Gyeongju)6.4x7x11.5cm, (Namyangju)120x31x7.6cm, (Icheon)6.5x11.5x10.7cm, (Paju)11.3x3.5x11.5cm

‘Flawer’ 연작은 은유의 구조를 바탕으로 시라는 텍스트를 시각화하고자 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Flawer ver.ROS’ 연작은 전시 제목인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라는 텍스트를 은유와 함께 문답법의 형식으로 결과물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의 흙과 돌을 잠들어 있는 뒹구는 돌로 대응하고, 각 지역의 흙과 돌을 채취하고 활용하여 제작하는 작업 과정을 뒹구는 돌이 잠에서 깨어날 수 있는 계기로 해석했다. 또한, 채취한 흙이 돌의 형태로 만들어져 번조되는 과정을 잠들어 있던 흙이 돌로 되돌아가는 순간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사용하는 행위를 통해 대상은 사용자에게 쓰임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쓸모를 가진 대상이 될 때라는 답을 하고자 한다.

The ‘Flawer’ series is the result of a study to visualize the text of poetry based on the structure of metaphor. ‘Flawer ver.ROS ’ is the result of a study to derive the text of the exhibition title, ‘When Do Rolling Stones Wake Up’, in the form of recitation and answer method with metaphor. I responded to the soil and stones of each region as sleeping stones, and interpret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utilizing them of each region as an chance for the stones to wake up. I also wanted to look at the process of collecting soil and firing it into stone as a moment when the sleeping soil returns to stone. Through the act of use, the object acquires the meaning of being used by the user. Therefore, I would like to answer the question, ‘When Do Rolling Stones Wake Up’ by saying that it is when it becomes a useful object.






김현영 Kim Hyeonyoung

바람 WISH
2023
의성 흙 위에 연필 드로잉, 유약
pencil drawing on the clay from Uiseong, glaze
가변 크기
variable size

보이지 않는 것을 기리는 인간은 부쳐지지 않는 편지를 늘 마음에 품고 산다.
A man who honours the invisible, always carries an unsent letter in their heart.






김현영 Kim Hyeonyoung

사람들 People
2023
의성 흙 위에 연필 드로잉
pencil drawing on the clay from Uiseong
설치, 가변 크기
variable size






심다은 Sim Daeun


역암 Conglomerate
2023
정선 흙, 강원도·경기도·경상도에서 수집한 점토, 오동나무
soil from Jeongseon, clay collected from Gangwon-do, Gyeonggi-do, and Gyeongsang-do, royal foxglove tree
12x10x12cm

대지의 이곳저곳에 흐드러진 흙을 모아 한데 뭉친 돌멩이. 흔적이 남은 땅과 땅의 흔적. 나의 엄마, 엄마의 엄마가 걸었던 땅을 내가 걷는다. 이별한 사람들 모두 땅으로 돌아 갔으니 이곳에 그들이 머무르리라.
*역암conglomerate: 굵은 자갈들이 긴 시간 퇴적되어 굳어진 퇴적암

Stones gathered from the earth's scattered soil and held together. Traces of the land, traces of the land. I walk on the ground where my mom and her mom walked. All those who have been separated have returned to the earth, and this is where they shall dwell.
*conglomerate: A sedimentary rock in which coarse pebbles have been deposited and harde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